수학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연상수(e)와 완전순열의 일반항 사이의 관계 의 테일러 전개를 보면 아래와 같다 그렇다면 아래의 무한급수도 이미 알고 있는 함수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을까? 의 전개식에 x 대신 -x 를 대입하면 홀수번의 거듭제곱이 있는 항은 마이너스 부호가 그대로 남게되고 짝수번의 거듭제곱이 된 항은 부호가 플러스가 되어 위와 같은 급수를 만들게 된다. 완전 순열의 일반항에 이와 비슷한 형태가 나온다. (참고로 완전순열의 일반항이란 다음 점화수열의 일반항을 말함.) 위 식은 책장에 n 개의 책이 꽂혀있는데 책들을 모두 다 꺼내고 다시 꽂을 때 모든 책들이 처음과 다른 위치에 꽂히게 되는 방법의 수를 의미한다. n 개의 책을 배열하는 방법의 수는 n! 가지 이므로 위의 식을 n! 로 나누게 되면 n권의 책을 마구 꽂을 때(random 하게) 모든 책들이 처음과 다.. 이전 1 다음